홈플러스 부채살 주문해서 그걸로 점심에 소고기무국을 끓여봤습니다.
유튜브에 나온 여러 레시피 중에서 백종원채널에 나온 방법으로 끓였고 결과는 조금 부족한 맛이 나왔는데요.
어떻게 만들었는지 간단히 적어보겠습니다.
오늘 오전에 홈플러스에서 배송이 도착했고 미국산 소고기 부채살을 비롯해서 배홍동쫄쫄면과 대파, 주방세제, 쿠마토 등이 현관문 앞에 있어서 가지고 들어왔습니다.
점심시간이어서 바로 무국을 끓이려고 재료를 손질했습니다.
무는 집에 있어서 대충 씻고 한입에 먹기 좋은 크기로 잘랐고 부채살은 400g정도만 꺼내서 3/5는 깍둑썰기로 자르고 힘줄이 적은 나머지 부위는 구워먹으려고 따로 빼놨습니다.
웍에 기름을 두르고 참기름도 한수저 둘러서 웍을 가열해준 후 바로 썰어놓은 소고기랑 무를 넣고 볶았습니다.
무에서 수분이 나와서 국물이 약간 자작하게 생겼는데 무가 약간 익었다 싶었을때 바로 물을 부었습니다.
1.5리터에서 좀 더 물을 넣었고 센불로 바꿔준 후 국간장과 다진마늘, 멸치액젓을 넣었습니다.
다진마늘은 한수저 크게 넣고 국간장이랑 멸치액젓은 2스푼씩 넣다가 좀 부족한 것 같아서 추가로 좀 더 넣었습니다.
그리고 대파도 바로 손질해서 옆에 준비해놓고 국을 끓였습니다.
국이 끓으면서 위에 거품이 올라왔는데 일단은 그대로 계속 끓이면서 쌓인 설거지를 했습니다.
설거지를 끝낸 뒤에 소고기무국 간을 보는데 너무 싱겁더군요.
그래서 히말라야소금 있는 걸로 간을 해봤습니다.
아직 많이 끓이지 않아서 그런가 뭔가 맛이 따로 노는 것 같았는데 약간 싱거우면서 또 짠맛은 어딘가에 그대로 남아있는 느낌이라고 하면 이해하실까요?
뭔가 맛이 제대로 들어가지 않은 것 같아서 계속 물을 붓고 소금을 타고 하면서 뭔가 요상해졌습니다.
결국은 그대로 밥에 말아서 점심을 해결했는데 뭔가 싱거워서 이번 무국은 그냥 망했구나 생각했습니다.
히말라야소금을 어디서 얻어온 게 있어서 그냥 그걸로 간을 맞춰 본 건데 괜히 이것땜에 그런가 싶기도 하고 짜증났습니다.
그렇게 끓여놓은 무국을 놔뒀다가 저녁시간이 되서 밥도 새로 하고 다시 끓이면서 후추도 살짝 더 넣고 했는데 오잉? 맛이 아까 점심이랑은 다르더군요.
이거 더 오래 끓였어야했는데 너무 살짝만 끓여서 그런 것 같기도 하고 아직 고기에서 맛이 덜 우러나서 그랬나봅니다.
점심에 먹었을때보다 국물이 훨씬 진해졌고 간도 많이 세서 그대로 밥에 말아먹으니까 딱 맛이 좋았습니다.
혹시라도 소고기무국 끓였는데 뭔가 밍밍하고 간은 된 것 같은데 깊은 맛이 나지 않는다면 놔뒀다가 한번 더 끓여보시기 바랍니다.
더 오래 끓여야 하는 건지 아니면 한번 식혔다가 다시 끓여야 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아무튼 저는 먹고나서 한번 더 끓이니까 맛이 제대로 잡혀버렸습니다.
혹시나 한우가 아니라 미국산 소여서 국물맛이 덜하나 싶었는데 다행히 그런건 아니었습니다.
국을 끓일때 부채살을 쓰니까 일단은 그 힘줄 부위가 있는 고기를 먹으면 엄청 쫄깃쫄깃하고 맛있습니다.
스지탕을 먹을때 그 쫄깃한 식감이 국에도 들어있어서 힘줄 부위 고기를 더 찾게 됩니다.
힘줄이 두꺼운 부채살은 구이용으로는 별로지만 국거리로 쓸때는 최고입니다.
그 부분만 모아서 된장찌개에다가 넣어서 먹어도 맛있을 것 같고 미역국에도 맛있을 것 같습니다.
무국 하나 끓여서 점심 해결했고 오늘 저녁도 이걸로 해결하고 내일 점심까지도 먹을 예정입니다.
그리고나서 내일 저녁에는 미역국을 끓이려고 하는데 한 3일까지는 국으로 다 해결하고 내일 모레 저녁에는 이제 된장찌개에 도전해보려고 합니다.
집된장이 아닌 새로 구매한 조개멸치된장이라 맛이 어떨지 모르겠지만 아무튼 맛있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