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식 축의금 15만원 시대라고 하는데

요즘은 결혼식 축의금 15만원 시대라는 이야기를 종종 합니다.

아직 5만원을 내는 분들도 있는데 무슨 15만원씩이나 내냐고 하는 분들도 있겠지만 내고나서 기분이 찜찜하지 않으려면 15만원은 내야하는 세상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저도 예전에는 5만원씩 했었고 그 뒤로 사회생활을 하다보니 10만원으로 금액을 올리긴 했지만 요즘 예식장들 식대를 보면 10만원도 부족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최근 결혼을 해보신 분들은 알겠지만 일단 예식장 잡는 것도 힘들어서 최소 6개월 전에는 계약해야하고 1년전에 계약을 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서울에서 결혼을 하려면 기본 식대 6~7만원은 생각하셔야 하고 강남에서 결혼을 하려면 식대가 9만원까지도 올라갑니다.

호텔 결혼식이 아닌데도 식대만 10만원정도 생각해야 하는 겁니다.

특히나 식대는 매년 오르기 때문에 올해 예약을 하러 방문한다면 작년보다도 더 올라간 금액으로 계약을 해야합니다.



작년이 기본 6~7만원이었으니 이제는 그보다 5천원에서 1만원까지 더 올랐을 수도 있습니다.

상황이 이러니 이제는 10만원 내고 나오기가 애매해져버렸고 친분이 있다면 최소 15만원은 해야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저출산에 결혼하는 사람들도 적은데 왜 결혼에 관련된 비용은 점점 더 올라가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결혼하는 사람이 적으니 관련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도 줄어들고 남아있는 업체가 얼마 없어서 그쪽으로 사람들이 많이 몰리는 탓에 가격이 올라가는 건가 싶고 대한민국은 결혼하는 사람들이 호구인가 싶기도 합니다.

결혼을 준비하다보면 이해 안 되는 부분들이 정말 많습니다.

스튜디오에서 촬영을 하는데 간식을 준비해오고 헬퍼 비용은 왜 내야하는지 아직도 이해를 못 하겠습니다.

기분 좋은 날이니 돈 좀 뜯겨도 된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결혼과 관련해서는 잘못된 문화들이 너무 많은데 어디서부터 손을 대야하는 건지도 모르겠고 정부도 뭔가 이를 바꾸려는 생각이 없어보이니 결혼하는 사람들만 피해를 보게 되는 것 같습니다.

결혼식 축의금 15만원 시대

사실 결혼식에 다니다보면 여기저기 돈을 내고 밥을 얻어먹고 이후 내 차례가 되면 이를 다시 되돌려받는다 생각하지 그걸 손해라고 생각한 적은 한 번도 없었습니다.

저는 당연히 결혼을 할거라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결혼을 하지 않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아졌기 때문에 굳이 가서 축의금을 내야하나라는 생각들을 많이 합니다.

예전에 당연히 돌잔치를 해왔지만 어느 순간 돌잔치라는 것이 싹 없어진 걸 보면 결혼식도 앞으로는 간소화되거나 없어지지 않을까란 생각을 하게 됩니다.

부부가 같이 혼인신고만 하고 살던지 아니면 혼인신고없이 살림만 합쳐서 살다가 안 맞으면 자연스럽게 헤어지는 방식도 있고 예전과는 분위기가 상당히 많이 바뀌었습니다.

결혼식에 참석하려면 최소 15만원은 내야하는 시대로 바뀌게 된다면 아예 참석하지 않는 사람들도 많이 생길 거라는 생각도 들고 그냥 돈만 10만원정도 보내는 사람들도 많아질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양복 차려입고 주말에 왔다갔다 기름값 쓰고 시간 쓰고 하느니 그냥 돈 10만원 보내고 끝내는 게 덜 피곤하니 그런 식으로 문화가 바뀔 것 같다는 생각도 드네요.

정부지원대출 1억원 신청


(블로그 관련 문의는 아래 댓글에 남겨주시면 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