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를 만들려면 기본적으로 요구하는 기준이 있습니다.
일정등급 이상의 신용점수와 꾸준한 소득, 재직기간 정도가 기본인데 구체적인 기준은 각 카드사마다 다릅니다.
최소 월 50만원 이상의 소득이 있어야하고 신용은 6등급 이내여야 하고 만 19세 이상부터 발급을 해준다는 최소 기준이 있는데 여기서 약간씩 차이가 난다고 보면 됩니다.
대학생은 소득확인이 안되기 때문에 보통 카드를 만들기가 힘듭니다.
과거에 카드를 무분별하게 발급해줬다가 대한민국이 들썩일 정도로 신불자가 많이 나왔던 시기가 있어서 그 이후부터는 신용을 확인하고 카드값을 부담할 수 있는 사람에게만 개설을 해줍니다.
학생이라면 소득이 없을테니 거절되는 경우가 많을 겁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모든 대학생들이 다 거절되는 건 아닙니다.
소득이 없는 분들 중에서도 개설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요.
오늘은 무직자 신용카드 발급 기준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계좌에 평균 잔고가 많은 분들
부모님에게 돈을 물려받아서 몇 천만원씩 계좌에 쌓아놓고 있는 경우라면 당연히 발급이 되겠지만 그런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최소 기준으로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이 역시나 카드사마다 다르지만 보통 계좌에 예금이나 적금이 300~500만원정도 되고 이를 6개월 이상 유지하고 있으면 발급을 해준다고 합니다.
600만원 이상 잔고가 3개월 이상 계속 유지되어 있다면 발급을 해준다는 카드사도 있었고 50만원 이상만 있어도 가능하다는 카드사도 있었습니다.
이 기준은 시즌에 따라서 변동이 생길 수도 있기 때문에 정확하게 딱 이 금액이 있어야한다는 기준은 아닙니다.
대략적으로 봤을때 최소 50만원에서 600만원정도는 있어야 가능하다는 거구요.
평잔이라고 해서 평균잔액을 말하는데 돈을 넣다가 뺐다가 계속 반복한다면 이게 본인의 자산인지 아니면 계속 지출하는 돈인지 기준을 잡기 힘들기 때문에 평균잔액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계좌에 계속 돈이 얼마나 들어있는지를 보고 평가를 하는 겁니다.
2. 주택청약이 있다면
어릴때부터 부모님이 주택청약을 만들라고 시켜서 계속 유지하고 있는 분들 있습니다.
청약이 있고 거기에 예치금이 600만원 채워져 있다면 카드는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저도 처음에 300만원까지 넣어서 유지하다가 중간에 한 번 해지하고 그걸로 까까사먹다가 다시 첫직장에 들어갔을때 청약통장을 만들어서 바로 돈을 채워넣었습니다.
기간이 중요하다고 해서 그때 만들고 지금까지 계속 유지하고 있는데 서울에 아파트를 청약하려면 600만원이 예치금으로 필요하다더군요.
그래서 600만원까지 채워놨는데 아무래도 서울에서 청약은 불가능할 것 같습니다.
어쨌거나 청약통장이 있고 이를 잘 가지고 있다면 그걸로 신용카드를 발급 받을 수가 있습니다.
대학생이라고 해도 말입니다.
오늘은 대학생이나 무직자 분들의 신용카드 개설 발급 기준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를 해드렸습니다.
직접 카드사에 연락을 하셔서 문의해도 되고 주변에 설계사가 있다면 더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저도 제 친구가 잠깐 카드영업을 할 때가 있어서 그때 신한카드를 하나 만들었는데 직접 설계사가 신청하니까 바로 나오더군요.
그때 일도 잠깐 쉴때고 딱히 나오는 소득도 없고 잔고도 바닥일때였는데 한도도 꽤 높게 나왔던 걸로 기억합니다.
지식인이나 커뮤니티에 보면 전문설계사분들 많이들 활동하니 카톡이든 메일이든 상담을 받아보시고 신청하시면 만들 수 있을 겁니다.
만약에 다 해봤는데도 카드를 만들어주지 않는다 싶으면 카드사 홈페이지에 민원접수라는 란이 있습니다.
거기에 신용 나쁘지 않고 앞으로 소득도 꾸준히 들어올 예정이니 한도 적당한 카드 하나 만들어달라고 직접 요청하면 개설해준다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thoughts on “무직자 신용카드 발급 가능하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