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면서 빌라는 될 수 있으면 들어가지 않으려고 했었습니다.
매매가 잘되는 동네라면 괜찮지만 꾸준히 신축 발라가 계속 나오는 동네는 진짜 매물을 떠넘기고 나오기가 힘듭니다.
집주인은 집이 나가야 전세보증금을 돌려줄 수 있다고 말하고 집은 안나가니 울며 겨자먹기로 내가 계속 살았던 적도 있습니다.
아파트는 매매도 빠르고 전세를 들어오려는 사람도 많아서 보증금 관련 문제가 그나마 적은 편입니다.
사회초년생일때는 부동산 계약에 대해서 잘 모를 수 밖에 없습니다.
부동산에서 맞다고 하면 맞구나 생각하고 부동산 복비가 아까워서 집주인이랑 직접 계약을 할 때도 집주인이 대충 설명하면 그냥 끄덕끄덕 넘어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모든 집주인들이 다 사기를 치는 건 아니지만 사기를 치는 사람들은 모두 집주인이라는 점을 일단 알아둬야합니다.
빌라 집값이 떨어지면서 내 보증금을 갚지 못해서 그냥 잠수를 타는 사람도 생길 수 있다는 걸 염두에 두고 만약에 집주인이 집을 그냥 경매로 넘길 경우엔 내가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알아둬야합니다.
집값이 내 전세보증금을 제외하고 여기에 걸려있는 다른 융자를 모두 떠안을 수 있는지 생각하고 계약을 해야한다는 소립니다.
3억짜리 집인데 은행에 1억 대출이 있고 나한테 전세를 줄때 보증금을 1억 7천에 들어오라고 하면 별 문제가 안됩니다.
근데 3억짜리 집에 은행 대출이 1억5천이나 잡혀있고 나한테 2억에 들어오라고 하면 3억짜리 집으로 3억5천을 땡겨먹었기 때문에 이건 터지면 문제가 됩니다.
은행 대출과 내 보증금을 못 갚겠다 경매로 집을 던지면 경매가 끝난 후 우선순위가 있는 은행이 먼저 1억5천을 걷어갑니다.
경매가 3억에 낙찰되면 그나마 다행인지만 2억5천에 낙찰되면 은행이 여기서 1억5천을 선순위로 떼갈테니 남는 1억원이 내가 받을 수 있는 전부입니다.
2억에 들어갔는데 1억만 건지는 셈입니다.
아니면 내가 경매에 직접 참여하는 수 밖에 없는데 경매에 참여해서 아주 싼 값에 낙찰이 되면 그나마 다행이지만 그것도 아니면 뭐 내 돈만 날라가는 겁니다.
그러니까 집을 계약할때는 내가 경매에 참여해서 낙찰받아도 될 정도의 매물인지 현재 융자는 얼마나 잡혀있는지를 따져봐야합니다.
최근에 언급되는 빌라 전세 사기 중에서 법인 매물을 개인이 명의이전하는 중간에 계약하는 건들이 많다고 들었습니다.
법인으로 건설사가 직접 짓고 그걸 누군가 다른 개인이 매매로 구입해서 다시 전세를 놓는다는 건데 처음 그렇게만 들으면 별 문제 없을거라 생각합니다.
어쨌든 집주인이 명확하게 정해져있고 나는 집주인이랑만 계약을 하면 되니까요.
하지만 진짜 문제는 건설사가 집을 짓고서 그 매매가를 높게 책정해서 계약을 하는 경우입니다.
신축빌라는 시세가 정해져있지 않으니 주변에 아파트랑 대충 비슷하게 해서 매매가를 높게 책정해버립니다.
그리고 그걸 서로 짜고 개인명의로 넘겨서 계약을 합니다.
원래대로라면 그 가격에 절대로 안 샀을 높은 가격대로 계약을 넘기는 겁니다.
그러면 원래 2억짜리 빌라는 3억짜리 빌라로 뻥튀기가 될거고 당연히 전세가격도 2억7천 정도로 오릅니다.
2억짜리 매매물건으로 2억7천짜리 전세를 받는 거고 이게 요즘 분양이 잘 안되는 빌라를 세입자에게 던지는 사기 수법이라고 들었습니다.
분양이 안되니 요즘 집값 상승으로 인해 이사를 못 가는 사람들에게 전세로 세입자를 들여놓는 겁니다.
그렇게 전세보증금을 받아서 계약 후 잠수를 타버리고 경매로 집을 넘기면 중간에 끼인 전세 세입자만 보증금을 날리게 되는 수순입니다.
담보대출의 경우 매물시세가 얼마나 되는지 꼼꼼하게 체크하지만 전세계약은 대충 전세물건에 이상만 없으면 대충 돈이 다 나오기 때문에 그걸 노리고 저렇게 작업을 친다고 들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법인에서 개인으로 명의가 변경되는 물건들을 주의하시고 이미 명의가 개인으로 바뀐 경우도 등기부등본을 떼보면 나오니 주변 빌라들 시세를 잘 따져본 후에 계약을 해야합니다.
앞동네 뒷동네 다 시세가 저렴한데 여기만 신축이라고 엄청 비싸게 매매가가 책정되어 있다면 그건 신축이라서 그런것도 있겠지만 작업을 친 걸 수도 있다는 사실을 잘 기억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