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리앤코 전기절감기 과연 어떤 효과가 있는지

퓨리앤코 전기절감기 과연 어떤 효과가 있는지 자료를 찾아봤습니다.

지금은 겨울이라 전기세 걱정이 크지 않지만 슬슬 날씨가 더워지면 그때부터는 에어컨 사용으로 인한 전기세 걱정이 생기기 시작합니다.

겨울은 난방비, 여름은 전기세 때문에 생활비가 쭉쭉 빠져나가는데 9만9천원이면 전기를 확실히 줄일 수 있다는 절감기가 있다고 들었습니다.

빈 콘센트에 꽂기만 하면 되는 공인인증기관 검증제품이라고 스토어에 나와있고 100% 국산제품이며 제품 사용 후 3개월동안 불만족시엔 100% 환불을 해주겠다는 말도 있었습니다.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데 전기세는 최저 5%에서 최고 30%까지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하니 여름철 6개월 정도만 사용해도 9만9천원의 구매비용은 충분히 뽑을 수 있다는 그런 말도 써있었습니다.

이게 진짜로 다 사실이라면 무조건 사는 게 좋긴 한데 이렇게 좋은 제품이면 정부에서 나서서 뭐라도 하지 않았을까라는 생각도 들고 확실히 믿을 수 있을까라는 불안감도 생기는 게 사실입니다.



그래서 찾아보니 다 좋은 말들만 있는 건 아니더군요.

특히나 최근에는 제이제이라는 유튜버가 직접 사용한 후기 외에 업체의 항의로 인한 재실험 영상까지도 올리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제이제이 실험 영상

유튜버 제이제이의 첫 실험 영상은 5개월 전에 올라왔었습니다.

동일한 시간동안 최대한 비슷하게 가전제품을 사용한 후 제품 사용유무에 따른 전력소모량을 비교하는 식으로 테스트를 해서 올린 영상이었습니다.

옛날 에어컨을 비롯한 각종 조명과 선풍기, TV, 공기청정기, 전기밥솥, 냉장고, 냉동고, 제습기, 건조기, 와인셀러 등등 다양한 가전제품을 각각 6시간씩 가동시켜놓고 퓨리앤코 전기절감기를 사용한 것과 사용하지 않은 것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는 실험을 올렸더군요.



계량기에서 실제 전력량을 측정해서 비교영상을 올렸는데 변화가 아예 없진 않으나 전력사용량의 감소가 다소 미미한 수치라고 밝혔습니다.

업체측 입장

크게 효과를 보진 못했다는 영상을 올린 이후 업체측에서는 실험 방식이 잘못되었다는 입장을 내놓았습니다.

테스트를 할때는 전자기기가 계속 작동중인 상태로만 실험을 하는 것이 아니라 전원을 수시로 껐다가 켰다 하는 실험을 했어야 한다는 주장을 한 상황입니다.

하긴 우리가 에어컨을 사용할때는 주구장창 틀어놓는 것이 아닌 잠시 사용했다가 다시 끄고 또 더워지면 켜서 사용하니 전원을 지속적으로 껐다가 켜면서 실험을 해야한다는 업체의 주장도 일리는 있어보였습니다.

해당 제품 자체가 가전제품을 사용할때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스파크전기를 줄여줌으로서 절감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을 켜고 끄는 과정이 있어야 한다는 주장이었습니다.



그리고 제품 테스트 시간도 너무 짧았다고 했는데 6시간정도 테스트로는 애매하고 최소 24시간 사용 중인 상태로 30일 정도는 해야 정확한 데이터값이 나온다는 말도 했습니다.

그러니까 절감기를 사용하지 않고 30일, 사용하고 30일 이렇게 2개월의 테스트를 진행하는 게 보다 정확한 방법이라고 업체는 주장한 상태입니다.

유튜버의 반론

업체는 테스트에 문제가 있었다고 주장하고 있고 제이제이 유튜버는 전문가를 찾아가서 업체의 주장에 잘못된 부분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영상으로 맞대응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추가적으로 제이제이 유튜버는 사비를 털어서 빈 사무실 한 칸을 구하고 전기공사까지 한 후 별도의 온도센서나 회로 없이 전원만 들어오면 바로 작동하는 기기들로 구성을 해서 새롭게 테스트를 진행했다고 밝혔습니다.

모든 플러그에는 스마트 플러그를 설치해서 타이머로 15분 동안 가동했다가 15분동안 종료되는 형식을 반복할 수 있도록 셋팅을 하였고 8시간동안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전력사용량 감소 효과는 전혀 없었다고 합니다.

테스트에 문제가 있었다고 하였기에 업체가 원하는 조건으로 8시간을 다시 테스트했음에도 전력사용량 감소 효과는 없었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인데 영상의 마지막에는 테스트와 자문을 도와준 전문가의 의견도 나와있으니 해당 내용이 궁금하다면 제이제이 유튜브의 퓨리앤코 전기절감기 실험 영상을 직접 찾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블로그 관련 문의는 아래 댓글에 남겨주시면 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