퀀트바인(Quantvine) 폰지 사기 말들이 많은데

유튜브에서 퀀트바인(Quantvine) 폰지 사기 어쩌고 하는 영상을 봤습니다.

처음엔 그냥 요즘 새로 또 유행하는 방식인가보다 넘겼는데 어제는 단톡방에 지인이 이걸 말하길래 이미 많은 사람들에게 퍼졌나보다라는 싶더군요.

지인에게 그걸 어떻게 알았냐고 하니까 회사 동료가 추천을 해줬다고 했고 그래서 투자했냐고 하니까 아직 안 했다고 하길래 그러면 일단 투자하지 말고 일단 기다려보라고 하고서 자세히 해당 업체에 대해 검색을 해봤습니다.

꼼꼼하게 구글링까지 다 해본 결과 대충 어떤 기업인지 확신이 생겼고 지인에게는 확신이 있으면 투자하라고만 이야기해줬습니다.

제가 해당 업체에 대해서 알아보고 느낀 점이 몇가지 있는데 일단 해당 업체의 수익구조부터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퀀트바인(Quantvine) 수익구조

이 회사는 어떤 수익구조를 가지고 있냐고 물어보면 대부분 지금까지 약속을 어기지 않고 수익금을 나눠준 업체라고만 말하고 있습니다.



돈을 주니까 믿을만한 업체라는 것이 기존 투자자의 의견입니다.

하지만 처음엔 약속된 돈을 계속 주다가 투자자가 점점 많아지고 감당이 안 되면 그때는 어떻게 대처를 할 수 있을까요?

단지 그것만으로 이 회사가 믿을만한 회사라는 건 너무 허술한 답변입니다.

해당 업체는 데이터와 알고리즘을 활용해 코인을 AI자동매매하는 시스템 플랫폼이라는 내용이 나왔는데 이들이 보장해준다는 수익이 하루 2%라고 했습니다.

하루 2%씩 복리로 수익이 발생한다는 건데 이걸 설명하는 사람도 이게 얼마나 어마어마한 구조인지 아예 모르고 있다는 게 더 웃겼습니다.

복리계산기만 두드려봐도 그런 AI자동매매 프로그램이 있다면 3년 안에 워렌버핏을 뛰어넘을 수 있다는 걸 알텐데 그런 어마어마한 프로그램으로 사람들에게 투자금을 요청해서 수익을 매일 나눠주고 있다는 게 도저히 말이 되지 않았습니다.

여러분들은 하루 2%식 복리로 수익이 발생한다면 1년만에 얼마를 벌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아래는 1천만원의 시드머니로 하루 2%씩 수익이 날 경우 1년뒤에 돈이 얼마나 불어나는지를 나타낸 자료입니다.



첫 10일간의 투자금 변화

일수 투자금 (원) 수익률 (%)
1 10,200,000 2.00%
2 10,404,000 4.04%
3 10,612,080 6.12%
4 10,824,321 8.24%
5 11,040,808 10.41%
6 11,261,624 12.62%
7 11,486,856 14.87%
8 11,716,593 17.17%
9 11,950,925 19.51%
10 12,189,944 21.90%

 

마지막 10일간의 투자금 변화

일수 투자금 (원) 수익률 (%)
356 11,525,536,415 1,15155.36%
357 11,756,047,143 1,17460.47%
358 11,991,168,086 1,19811.68%
359 12,230,991,448 1,22209.91%
360 12,475,611,277 1,24656.11%
361 12,725,123,503 1,27151.24%
362 12,979,625,973 1,29696.26%
363 13,239,218,492 1,32292.18%
364 13,504,002,862 1,34940.03%
365 13,774,082,919 1,37640.83%

최종 결과

365일 후 투자금:137억 7,408만 원

총 수익률:137,640.83%

보이시나요?

시드머니가 큰 것도 아니고 딱 1천만원으로 시작했는데도 하루 2%씩 수익이 난다면 1년 뒤에는 내 시드머니가 137억으로 불어나게 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표입니다.

1천만원이 아닌 1억으로 시작했다면 그 돈은 1년뒤 1,377억정도가 되어있을 겁니다.



이런 어마어마한 기술력이 있는데 그걸로 고작 사람들에게 소액의 투자금을 받아다가 매일 또 수익금을 나눠준다는 게 상식적으로 이해가 갑니까?

가만히 내 돈을 넣어놓고 있으면 부자가 될 기술인데 매일 다른 사람들에게 시드머니를 나눠주면 내 돈은 언제 불릴 수 있겠습니까?

아무리 이해하려고 해도 이해가 안 되는 수익구조인데 여기에 투자하는 사람들은 이를 전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이런 기술력이 있다면 그 업체는 굳이 먼 이 한국땅까지 와서 투자를 구걸할 필요도 없고 본인이 대출을 받아서 굴려도 3년 안에 전세계에서 가장 부자가 될 수 있습니다.

1년 수익률이 137,640%이면 100만원만 있어도 3년내에 수십조원으로 재산을 불릴 수 있다는 소리이고 그렇다는 건 이들이 어설픈 앱을 만들지 않아도 된다는 소리가 됩니다.

그리고 투자자들에게 하루 2%씩 수익을 떼어준다는 것 역시나 기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이렇게 어마어마한 돈이 들어간다는 소리이니 절대로 감당할 수 있을만한 구조가 못 됩니다.

그러니 사업성을 보고 투자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되는 거고 저는 투자를 할 거면 이것을 일종의 코인으로 보고 투자하시라고 이야기드리고 싶습니다.

리스크가 상당히 큰 편이지만 원금 회수 기간이 대략 40일로 짧은 편이기 때문에 그때까지 회사에 문제만 없다면 손해볼 게 없는 구조라서 짧게 치고 빠지는 식으로 들어간다면 나쁘지 않을 수도 있겠다고 생각합니다.

주변에 퀀트바인(Quantvine) 투자에 대해서 누군가 물어본다면 리스크가 크지만 원금 회수가 가능한 기간까지만 버티면 이익을 보는 구조이니 알아서 판단하시라고 이야기할 것 같습니다.

장기적으로 보고 갈 투자방식은 아니지만 내가 원금을 회수할때까지 회사가 버티고 있다면 무조건 수익을 보는 구조라는 것만 알고 투자를 결정하시면 됩니다.



(아, 그리고 보통 먹튀하는 업체들은 먹튀 직전에 1+1처럼 말도 안 되는 수익을 주는 이벤트를 진행하고 털어내는 편이며 이와 비슷한 코인파크 사건이 전에도 있었으니 이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정부지원대출 1억원 신청


(블로그 관련 문의는 아래 댓글에 남겨주시면 됩니다.)

9 thoughts on “퀀트바인(Quantvine) 폰지 사기 말들이 많은데”

    • 저도 해보고 의견 추가하려고 했는데 퀀트 자체가 빗썸, 업비트에서 불법 다단계 의심으로 출금이 막혀버려서 못할 것 같습니다.
      어제 날짜로 막혔으니 한 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응답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