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 의료보험 번호 조회 어떻게 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초등학생 기초조사서나 돌봄 프로그램 때문에 갑작스럽게 이것저것 조회해야 할 상황이 생기는데 일단 자녀의 의료보험 번호를 조회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nhis.or.kr)
- 국민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1577-1000)
- The 건강보험 앱
고객센터에 전화를 해서 문의하는 방법도 있고 The 건강보험 앱을 설치해서 확인하는 방법이 있는데 보통은 그냥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로그인 후 확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도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확인을 했는데 간편인증을 통해서 로그인이 가능했고 마이페이지에 들어가니 바로 건강보험증번호가 나와있었습니다.
자녀 의료보험 번호는 로그인 후 나오는 건강보험증번호를 입력하면 되고 직장가입자인지 지역가입자인지 기관도 확인해서 입력하면 됩니다.
일반 직장인은 직장가입자로 나올 거고 개인사업자는 지역가입자로 나올 겁니다.
자녀는 세대주의 피부양자로 등록이 되어있기 때문에 세대주의 건강보험증번호를 입력하면 됩니다.
학교에서 갑자기 이런 내용을 적어오라고 하는 이유는 아이가 갑자기 다치거나 응급상황이 생겼을때 부모와 연락이 되지 않을 경우 119구조대로 연락하고 의료기관으로 이동하여 치료를 받게 되는데 그때 의료보험으로 치료를 받아야하기 때문에 미리 적어두는 거라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 들어가셔서 로그인 후 마이페이지에 들어가면 간강보험증번호를 확인할 수 있고 다른 방법으로는 홈페이지 – 민원서비스 – 서비스찾기 – 자격사항(조회하기)로 들어가셔서 나오는 증번호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서비스 중에 자격득실확인서로 들어가시면 지금까지 가입되었던 내역을 쭉 확인할 수 있는데 회사에 들어가면 직장가입자로 취득이 되기 때문에 어떤 회사에 입사했고 퇴사를 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도 오랜만에 예전에 다녔던 회사들 목록을 쭉 확인해봤는데 감회가 새롭더군요.
그 외에 마이페이지에 들어가면 나의 검진에 건강검진 대상조회 서비스가 나옵니다.
일반건강검진이나 6대 암검진 대상자인지 확인할 수 있고 대상자로 나오면 본인부담없이 검진을 받을 수 있으니 해당사항이 있다면 검진기관을 찾아서 건강검진 서비스를 받으시면 됩니다.
나라에서 해주는 거라 건강검진은 꼬박꼬박 받으시는 게 좋습니다.
건강보험증번호는 나중에 또 조회할 일이 생길 수도 있으니 따로 메모장에 적어두시거나 스샷을 찍어서 가지고 다니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대신 이직을 하거나 지역가입자로 있다가 폐업을 할 경우 바뀔 수 있으니 그런 경우에는 다시 바뀐 이후에 조회를 하시면 됩니다.
자녀가 다치게 되면 기본적인 치료는 의료보험으로 커버가 되지만 모든 치료가 다 커버되는 것은 아니며 큰 돈이 들어가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아이를 위한 기본적인 실비는 가입해두는 게 좋습니다.
혹시라도 아직 어린이보험에 가입하지 않으셨다면 지금이라도 가입을 시켜주는 게 좋고 나중에 아이가 성인이 되어서도 보장을 받을 수 있는 실비로 쭉 갈 수도 있으니 아이를 위한 보험을 잘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실비는 내가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경우 내가 낸 실비용을 고대로 돌려받는 보험이고 저도 예전에 급성간염에 걸려서 2주일간 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고 50만원 낸 걸 고대로 다 돌려받은 적이 있습니다.
위내시경이나 대장내시경 같은 것도 고대로 다 돌려받았는데 아이나 어른이나 기본 실비는 필수로 가입하는 게 기본이니 귀찮다고 생각하지 마시고 꼭 하나쯤은 가입을 시켜주시는 게 좋습니다.
오늘은 자녀 의료보험 번호 조회 방법에 대해 간단히 적어봤는데 공단 홈페이지에서 간편인증이나 공동·금융 인증서로 로그인을 하시면 내 가입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