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내버스 난폭운전 신고가 증가하는 이유

무정차나 불친절 등등 승무사원들은 최대한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국에 시내버스 난폭운전 신고는 전혀 줄어들지 않고 있습니다.

이는 일부 승무사원의 문제일까요?

아니면 현재 버스회사의 운영방침 때문일까요?

지방으로 갈수록 민원이 더 급증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승무사원의 문제도 어느 정도는 있겠지만 근본적인 원인은 배차 간격이 벌어지면 안 되는 회사의 방침 때문이라 할 수 있습니다.

버스 승무사원들은 배차 간격을 지켜야한다는 회사의 요구를 지키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난폭운전을 할 수 밖에 없는 게 현실입니다.

민원이 오면 그것도 들어줘야하지만 배차 간격은 꼭 지켜야하니 이중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겁니다.



정해진 시간에 출발하고 도착하면 당연히 이용자들은 편리하지만 그 배차 간격을 꾸준히 유지하기 위해서는 안전 운전을 할 수가 없습니다.

노란불에 다 멈춰설 수 없는 게 현실이고 그러다보면 갑작스러운 급정거는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노란불에 나는 건너야하는데 내 앞 차가 바로 멈춰선다면 당연히 지나갈 줄 알았던 버스는 급정거를 할 수 밖에 없습니다.

특히 서울에서 집회가 벌어지면 승무사원들은 더욱 신경이 곤두설 수 밖에 없으며 배차 간격을 지키지 못 할까봐 더 급하게 가야하는 게 현실입니다.

신호 하나를 놓치면 대략 2분을 기다려야하고 그러면 손실된 2분을 만회하기 위해 더욱 빠르게 가야합니다.

시민의 안전을 보장하면서 배차 간격을 유지하라는 것은 말이 안 되는 부분입니다.

그만큼 더 버스들이 자주 운행한다면 모를까 정해져있는 인원으로 이를 딱딱 맞추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안전을 생각해서 신호를 준수하고 손님이 다 내리면 출발하고 모두 앉았는지 확인 후 출발하고 차량간의 안전거리를 준수하고 그렇게 운전을 하면 지시불이행으로 징계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사정을 아는 사람들은 도로에서 버스가 보이면 최대한 양보를 해주려고 노력하지만 이를 모르는 사람들은 도로에서 무리하게 끼어드는 버스를 보면 택시나 버스를 마냥 악의 축인 것처럼 화를 냅니다.

택시는 그렇다고 쳐도 버스는 빨리 달리는 게 그들이 따로 돈을 더 받으려고 그러는 게 아닌데 모든 비난을 승무사원이 감당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욕을 하려면 버스회사에 하는 게 맞지 않을까요?

저런 식으로 버스를 운행하게 만든 버스회사를 비난해야지 어쩔 수 없이 지시를 이행하는 승무사원들을 비난해서는 아무것도 바뀌지 않습니다.

오히려 승무사원들이 지켜야 할 지침이 하나 더 추가될 뿐입니다.

승무사원들은 배차 간격을 지키면서 승객들에게 친절한 서비스를 제공해야하고 그들의 안전에 책임을 가지고 운행을 해야하며 난폭운전을 해서도 안 되는데다가 절대 욕 먹을 짓도 해서는 안 된다고 말이죠.

그걸 다 지키면서 배차 간격까지 딱딱 맞출 수 있는 건 기계라고 해도 불가능할 겁니다.



아무리 시스템이 좋아지더라도 시내버스 난폭운전 신고 자체가 없어질 수 없는 이유는 무조건 지켜야하는 배차 간격이라는 것을 다들 아셨으면 합니다.


(블로그 관련 문의는 아래 댓글에 남겨주시면 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