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두암 바닷가 앞에서는 해산물을 즉석에서 손질해서 파는 장사꾼들이 있습니다.
해녀촌처럼 그렇게 해서 장사를 하는 곳인데 그 분들은 해녀도 아니고 직접 잡아 온 해산물도 아니라는 말을 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저도 예전에 거기서 해삼, 멍게에 소주 한 잔 하곤 했었는데 점점 가격이 오르니 솔직히 나중엔 먹기 부담스러울 정도가 되더군요.
나중엔 딱히 용두암에 갈 일도 없고 지인들 데려다주러 갈때도 그냥 지나가기만 했는데 여기가 시스템이 재밌는 게 술을 마시고 싶으면 위에 가게에서 사와서 드셔야한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위에 올라가봐도 딱히 편의점은 없고 작은 마트 하나 있는 곳에서는 캔맥주를 1캔당 3천원에 팔고 있습니다.
소주도 한 병에 3천원씩 파는 게 황당한 포인트입니다.
해산물은 뿔소라, 해삼, 전복을 손질해서 파는데 전복 2개에 뿔소라 3개, 해삼 하나 해서 5만원에 팝니다.
어마어마한 가격이죠.
부산 기장에 가면 해산물모듬 3만원짜리에 해삼, 멍게, 개불, 전복, 산낙지, 소라에 새우까지 쟁반 하나가득 챙겨주는데 솔직히 뿔소라랑 해삼, 전복 딱 요렇게만 담아주면서 5만원은 너무한 가격이 아닌가 싶습니다.
마트에서 파는 소주도 3천원이라는 게 어이없고 이래서 제주도는 다시는 안 간다는 말들이 나오는 게 아닌가 생각됩니다.
해녀촌은 직접 잡은 해산물을 저렴하게 파는 것인데 용두암 앞에서 파는 장사꾼들은 직접 잡은 해산물도 아니고 멍게는 통영에서 가져오고 전복은 양식된 거고 뿔소라 하나만 제주에서 나는거라고 합니다.
그러면서 배타고 건너온 거라 더 비싸다는 말도 안 되는 말을 합니다.
솔직히 5만원이면 횟집에 가서 모듬회를 먹어도 될 가격인데 바닷가 앞에서 썰어준다는 프리미엄이 너무 심하게 붙은 거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 정도입니다.
제주시에 5만원짜리 모듬회 파는 집들 가보면 멍게랑 전복에 각종 반찬에 물회에 활어회는 기본이고 생선구이에 튀김에 매운탕까지 세트로 주는 곳들 많습니다.
5~6만원이면 2~3명은 먹을 수 있는 모듬회를 파는데 해산물 약간 썰어주고 5만원은 너무 심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제주도는 여기저기에 너무 비싸게 파는 음식점들이 참 많습니다.
요즘 계속해서 문제가 되고 있는 흑돼지도 솔직히 그렇게 비쌀 필요가 있나 싶을 정도로 엄청나게 바가지를 씌워서 팔고있다 생각합니다.
가족들끼리 제주도에 일주일 여행을 와서 500만원 넘게 쓰고 간다는 말도 있고 그 돈이면 차라리 일본을 가는 게 낫겠다고 하는 이유가 다 있습니다.
제주도는 도민들이 가는 곳을 돌면 다른 여행지처럼 아주 저렴하고 재밌게 놀다가 갈 수 있지만 그걸 모르면 바가지 쓰는 포인트들이 너무 많습니다.
검색해보면 다들 이 정도는 먹는다 이 정도 돈은 쓴다는 식으로 광고글이 너무 많고 어이없는 도민 맛집들이 너무 많이 나옵니다.
실제로 도민들도 모르는 도민 맛집들이 너무 많아서 황당할 정도죠.
제주의 이미지가 점점 안 좋아지고 있는데 이를 바로잡을 생각이 별로 없어보여서 참 안타까울때가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