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보틀에서 별 생각없이 아메리카노 한 잔을 마셨습니다.
역삼역에 약속이 있어서 갔다가 친구가 아직 회의가 끝나지 않았다고 하면서 근처에서 커피 한 잔 하고 있으라고 끌고가더군요.
스벅이나 들어가자고 했다가 블루보틀이 근처에 있길래 그냥 거기로 들어갔습니다.
저는 말로만 들었던 곳이라 뭘 시켜야할지도 모르겠고 사준다고 하길래 그냥 아메리카노 따뜻한 거 한 잔 시켜달라고 했습니다.
커피를 시켜놓고 여기서 잠깐 커피 마시면서 지나가는 사람 구경도 하고 기다리면 금방 회의 끝내고 오겠다고 다시 올라가길래 알겠다고 했습니다.
날씨도 좀 쌀쌀해졌고 그래서 따뜻한 커피로 주문했는데 가만히 앉아서 검색해보니 여기는 드립커피를 마셔야한다나 뭐라나.
이왕 시킨거니 어쩔 수 없이 그냥 마시고 있는데 오~~ 일반 아메리카노인데도 커피가 딱 적정한 맛이었습니다.
저가커피의 과하게 씁쓸한 맛도 아니고 산미가 높은 그런 커피맛도 아니고 적당하게 구수한 느끼도 들면서 과하지 않은 맛?
이런게 맛있는 커피인가? 아니면 그냥 이름값에 내가 홀린건가? 뭐 그런 느낌이 들었습니다.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과하지도 않고 그냥 딱 적당한 커피맛이었는데 오랜만에 이런 커피를 마셔본 것 같아서 기분이 좋았습니다.
다음에는 여기에서 꼭 드립커피를 마셔봐야겠다 생각하고 나중에 친구가 와서 같이 나왔네요.
저가커피에서 쓴 맛이 나는 이유
저가의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에서 커피를 시키면 과하게 쓴 맛이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렇게 쓴 맛이 나는 이유는 원두를 강하게 볶기 때문인데 대량으로 원두를 유통시켜야 하므로 강하게 볶아서 쓴 맛이 난다고 합니다.
1리터씩 커피를 많이 담아주는 곳은 커피를 그만큼 많이 넣는 게 아니라 그만큼 얼음과 물을 많이 넣는 겁니다.
그래서 양이 많은 커피는 맛이 연해지고 일반 커피는 쓴 맛이 진하고 그런 차이가 있다고 합니다.
물론, 양이 많은 커피에다가 3샷을 넣어서 판매하는 곳도 있고 모든 커피전문점들이 다 그렇다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일종의 꼼수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고있는 겁니다.
그런 꼼수를 쓰는 경우도 있다는 것이니 나중에 커피를 드실때 그런 차이를 잘 생각해보시고 대용량 커피인데 커피 맛도 진하고 괜찮다 하는 곳이라면 그만큼 샷을 많이 넣어주는 곳이니 단골로 삼고 자주 다니시기 바랍니다.
저는 20대 중반쯤 처음 아메리카노라는 걸 마셨었습니다.
그 전까지는 그냥 음료 같은 거나 마셨지 커피도 다방커피나 좀 마시고 그러다가 갑자기 아메리카노를 사람들이 마신다고 하길래 저도 한번 마셔봤었습니다.
근데 이 무슨 담뱃재 맛 나는 커피를 왜 마시는 건가 그때는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담뱃재를 마셔본 적도 없으면서 괜히 그런 느낌이 들고 그런 맛이 나는 것 같아서 이걸 왜 마시나 했습니다.
하지만 원래 쓴 맛이구나를 알고 그 다음에 두번째로 마셨더니 처음보다는 그래도 낫다 싶고 세번째 마셨더니 이런 맛도 뭐 나쁘진 않구나 했고 나중에는 물 대신 아메리카노를 마시는 뭐 그런 단계까지 갔던 기억이 납니다.
아이스 아메리카노가 특히나 쓰고 그랬었는데 블루보틀 아메리카노 커피를 마셨더니 예전의 그 기억이 떠올랐습니다.
너무 쓰지도 않고 산미가 높지도 않은 이런 적당한 커피로 처음 아메리카노를 배웠다면 좀 더 괜찮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오랜만에 예전 생각을 하니 연락하고 싶은 사람들도 하나둘씩 생각납니다.
다들 잘 살고 있는지 카톡이라도 보내봐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