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에서 퇴거시 도배 한 롤 비용 30만원 문제

건설사의 장기임대아파트에 살면 입주시보다 퇴거시 가장 큰 문제가 발생합니다.

바로 원상복구의 제약이 그 주인공입니다.

아파트 입주민들이 카페를 만들어서 서로 정보를 공유해야 그나마 눈탱이를 덜 맞을 수 있습니다.

건설사가 집주인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나갈때 굳이 세입자를 받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도 있지만 반대로 나갈때 원상복구를 꼼꼼히 체크한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전세나 월세 계약을 연장하지 않기로 했다면 계약기간까지 거주를 하고 계약기간이 끝나는 날에는 집을 비워줘야 합니다.

최소한 계약날짜 1개월 전에는 연장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전달해야 하지만 혹시라도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2개월 전에 미리 통보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저희 아파트는 계약이 종료되기 3개월정도 전에 미리 우편으로 세대주에게 의사를 물어봤습니다.

임대차 계약기간 만료 안내문을 발송해서 우편함에 넣어놓더군요.

계약기간 만료 1개월 전까지 계약 갱신 혹은 퇴거 여부를 당사로 알려주기 바란다면서 계약담당자 전화번호를 적어놨는데 하단에는 또 퇴거예정인 세대는 계약만료일 2개월 이전 계약담당자와 상의바란다는 내용이 적혀있었습니다.

집값이 하락하고 있는 중이지만 임대보증금은 올해 4.71%가 증액되어 재계약시엔 1200만원 더 상향된 전세보증금을 내야했습니다.

돈이야 구할 순 있지만 이게 맞는건가 생각도 들고 그래서 이사도 알아보고 부동산도 다니고 했었습니다.

아직은 동네 집값이 다 들쑥날쑥이고 무엇보다 전세값이 지난 2년동안 너무 올랐기 때문에 제가 들어갈 수 있는 집이 없더군요.

그래서 증액보증금을 그대로 추가해서 2년 더 계약을 갱신하기로 했습니다.

계약은 갱신하기로 했지만 최근 한 달간 거의 퇴거를 알아보면서 아파트 입주민 카페에서 여러가지 정보들을 찾아봤었는데요.

2년뒤에 저도 잘 알아둬야 할 내용들이 많았습니다.

퇴거 시 반납해야 할 물건들

계약기간이 끝나서 퇴거를 할때는 당연히 입주시 받았던 물건들을 다 돌려줘야 합니다.

안내 설명문까지도 싹 포함해서 줘야하며 홈넷, 도어록, 보일러, 환기장치, 욕실 인터폰, 비데까지 정상 작동이 되는 상태로 유지해야 합니다.

비데는 전에 제 돈으로 수리를 받아놨고 나머지는 다 문제가 없으니 이건 큰 걱정이 아니었는데 도배비용이 꽤 크더군요.

벽지가 조금이라도 닳아있으면 한 면을 싹 바꿔야하고 도배를 해놨더라도 기존의 벽지와 최대한 유사한 실크벽지가 아니면 인정을 해주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6년을 살았는데도 벽지는 감가상각없이 현재 시세대로 다 받아낸다고 하네요.

도배의 기준은 한 롤 단위이며 살짝 스크래치가 난 부분이 있으면 아예 한 롤을 발라야하고 그 비용은 30만원이라고 합니다.

퇴거시 그 비용을 다 부담해야 한다는 건데 이것저것 트집을 잡는 게 비단 도배만이 아니라는 게 더 큰 문제였습니다.

그 얘길 듣는데 벌써부터 무섭더군요.

어떤 분은 멀쩡해보이는 벽지를 도배해야 한다고 해서 그러면 여기 도배할 부분은 내가 싹 뜯어내도 되냐고 물었더니 안된다고 정색을 하더랍니다.

트집을 잡아서 돈 뜯어내고 멀쩡해보이면 그냥 놔두고 돈만 챙기려는 수작인 겁니다.

생활지원팀과 시설지원팀이 따로 있어서 서로 의견도 다르고 시설지원팀장이라는 사람은 와서 이것저것 꼬투리 엄청 잡아가며 돈을 뜯어낸다고 들었습니다.

작은 흠이 있으면 직접 눈에 안 띄게 수리를 해놓는 게 훨씬 싸게 먹힌다고 하니 나중에 계약기간이 끝나면 저도 싹 둘러볼 생각입니다.

방충망, 창문 손잡이나 문 틀 등등 이것저것 트집을 잡아서 100만원이상 뜯어간다고 하는데 300만원 넘게 나온 세대는 그걸로 계속 싸워서 결국 150만원으로 퉁 쳤다는 글도 올라와있었습니다.

방문도 오래되서 살짝 들뜨고 거기서 가루 떨어지고 할 수 있는데 이걸 문을 통째로 갈아야한다고 했답니다.

방문을 교체하는 비용도 출장비랑 교체비 포함해서 수십만원이 추가되었다고 하니 진짜 하나하나 다 미리 체크해둬야 할 모양입니다.

평균적으로 40~50만원은 뜯길 준비를 해야한다는데 장기수선충당금으로 받을 돈을 퇴거복구 비용으로 다 쓰게 생겼습니다.

깨끗하게 쓰긴 했지만 혹시라도 노후화로 인해 문제가 생길 수도 있으니 다음에 퇴거를 하게된다면 미리 다 체크해서 자가수리를 하고 최대한 돈은 덜 뜯기도록 해봐야겠습니다.


(블로그 관련 문의는 아래 댓글에 남겨주시면 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