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 정부 정책자금 대환대출 지원센터 안내

소상공인 정부 정책자금 대환대출 지원센터 안내입니다.

소진공에서는 대출금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중·저신용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개인·법인당 5천만원 한도의 자금을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연 4.5% 고정으로 진행이 되며 기간은 10년으로 비거치형은 10년 분할, 거치형은 2년거치 후 8년 분할상환으로 진행이 됩니다.

22~25년도에 소진공 대환자금이나 22~24년에 저금리 대환 프로그램(금융위, 신보)을 지원받은 이력이 있는 분들도 한도에서 기존 대환실행액이 차감되고 나머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대상 확인서 발급 문의는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을 통해서 하시면 되고 정책자금 누리집에 가시면 더 자세한 내용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 정책자금 만기가 다가오는 분들은 누리집에서 코로나19피해 소상공인 분할상환지원을 신청할 수 있으니 여력이 안 되는 경우 정책자금상환연장 전환심사를 신청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코로나19피해 소상공인 분할상환지원 대상

분할상환지원 대상은 세금체납, 신용정보등록, 타기관 연체, 실질휴·폐업, 공단채권 30일 이상 연체상태에 해당하지 않고 아래 조건 중 하나에 해당하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1. 매출감소 : 코로나19 기간의 매출 대비해서 2024년말 신고매출액이 감소한 경우
  2. 다중채무자 : 지원대상 채무 외 코로나19 기간에 발생한 공단 외 기관 잔존 채무가 1개 이상인 경우
  3. 중·저신용자 : 신청시점 기준 중·저신용자(NCB 839점 이하)에 해당하는 자

※ 위에서 말하는 코로나19 기간은 2020년 1월 1일 ~ 2023년 12월 31일까지입니다.

누리집에 가시면 신청가능한 계좌가 있는지 직접 확인할 수 있으니 만기가 가까워져서 고민인 분들이라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소상공인 정부 정책자금 대환대출 지원센터

소진공이나 중소벤처기업부, 지역신용보증재단과 시중은행을 통해서 받을 수 있는 상품이 있는지 먼저 체크해보시고 나오는 혜택이 없으면 소상공인 정책자금 지원센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온라인 웹페이지를 통해서 진행할 수 있고 따로 지점에 방문하거나 보증서를 발급할 필요없이 간단하게 진행이 가능한데 비대면으로 접수가 되기 때문에 크게 어려운 점은 없습니다.

상담사를 통해서 내용 확인하고 필요한 서류 있으면 추가해서 접수하면 되고 어차피 서류는 스마트폰을 통해서 첨부하면 되니 예전처럼 여기저기 왔다갔다하면서 팩스 보내고 그런 번잡함이 없어서 편해졌습니다.

사업자대출이나 신용자금 등을 정책금리 기반 장기 분할상환으로 바꾸는 절차이고 이를 통해서 월 상환액을 낮추고 금리 부담을 줄이는 게 가장 큰 목적입니다.

이자를 낮추면 매달 내야하는 월 상환액이 줄어들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신용점수가 올라가서 추후 추가자금을 받기에도 유리한 상황이 되고 한도도 더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소상공인 정책자금 대환대출 후기

예산이 소진되고 전에 공고를 보고 들어가서 저도 정책자금을 신청한 적이 있었고 그때 한도가 최대 1억까지 나온다고 해서 부랴부랴 조건 맞추고 접수를 했던 기억이 납니다.

스크래핑으로 알아서 연동이 되니 크게 필요한 서류는 없었고 나중에 연락이 와서 추가서류가 뭐 필요한지 문자로 보내준 덕에 그거 들고서 주민센터 갔다가 세무서 갔다가 한 방에 다니면서 처리할 수 있었습니다.

받은 서류들 보내주고 접수가 완료되었다는 문자 받고 이틀인가 기다리니 바로 승인되었다고 하면서 돈이 입금되었는데 계좌에 큰 돈이 들어오니까 내가 번 것도 아닌데 뭔가 뿌듯하기도 하고 일단 여유가 생겨서 그날 저녁에 삼겹살 사다가 집에서 파티하고 소주도 한 잔 하고 그랬던 게 기억납니다.

일단은 금전적인 여유가 생기니까 이제 살았다 싶더군요.

소상공인 정부 정책자금 덕분에 일단 한고비 넘기고 그 이후에 빚이 있다고 생각하니까 더 동기부여가 되서 그런지 새벽같이 일어나서 1시간이라도 일할 수 있는 거 받아서 뛰고 주말없이 일한 덕에 지금은 80%이상 다 갚고 나머지 빚만 처리하고 있는 중입니다.

당장에 내집마련은 힘들지만 앞으로 5년정도 목표로 잡고 작은 빌라라도 얻어야겠다는 생각에 열심히 일하는 중인데 환경이 어려운 가정에 희망을 줄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갚어치가 있는 사업이 아닌가 싶습니다.


(블로그 관련 문의는 아래 댓글에 남겨주시면 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