밖에 나가서 사먹으면 돈이 아까운 음식들 이야기를 해봅니다.
막상 나가서 사먹으면 맛있게 먹지만 식당까지 가기가 꺼려져서 잘 안 먹게되는 메뉴들이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게 바로 백숙이랑 삼계탕인데 복날이나 집에 친척들이 놀러오거나 하면 마땅히 갈 곳이 없는 경우 그냥 백숙집을 가곤 합니다.
여럿이 오면 대접한다고 백숙집을 가긴 하는데 와이프랑 둘이서 백숙집을 간 적은 거의 없습니다.
연애할때 딱 한 번 경복궁 근처에 있는 토속촌 삼계탕집에 간 거랑 제주도에 살때 가끔 비원에 간 거 빼고는 둘이서 간 적이 정말 드문 편입니다.
그나마 비원도 예전에 가격이 저렴할때 가끔 다녔었는데 지금은 가격이 많이 올라서 무서울 정도더군요.
삼계탕은 동네 마트에 삼계탕용 닭을 사다가 그냥 집에서 끓여먹어도 되니 굳이 밖에서 사먹어야할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저희 동네 마트는 삼계탕용 작은 닭 한마리에 4천원정도씩 해서 그거 두마리만 사다가 대충 끓여서 먹곤 하는데 남은 국물은 누룽지를 넣어서 끓여먹으면 마무리까지도 확실합니다.
굳이 인삼이나 대추 뭐 이런거 안 넣고 그냥 물만 넣고 끓여도 국물 진하게 잘 우러나는데 굳이 그럴 필요가 있나 싶고 후추소금만 찍어먹어도 맛있으니 삼계탕을 굳이 밖에서 사먹어야하나 싶을때가 많습니다.
닭으로 만든 메뉴하면 백숙이랑 닭도리탕을 빼놓을 수 없는데 마트에서 닭은 엄청 싸게 파는데 왜 백숙이랑 닭도리탕 가격은 항상 5만원이 넘어가는지 이해를 할 수가 없습니다.
뭔가 이것저것 많이 들어간다고 해도 닭한마리를 둘이서 3만원이면 먹는데 왜 닭도리탕은 더 비싸게 받는지도 모르겠고 아무튼 이해할 수 없는 메뉴들입니다.
밖에서 사먹으면 돈 아까운 음식들 중에서는 파스타도 항상 들어갑니다.
그나마 피자를 먹을때 오픈스파게티는 가격도 저렴하고 아예 리뷰참여시 챙겨주는 곳도 있으니 그럴때 종종 먹곤 하지만 아예 파스타 전문점은 잘 안 가게 됩니다.
일단은 양도 적고 가격도 보통 1만원대 중반은 하니까 그거 하나 먹느니 차라리 그냥 파스타 소스랑 파스타 면만 마트에서 사다가 집에서 해먹고 말지라는 생각이 먼저 듭니다.
진짜 맛있는 파스타집이야 안 그렇겠지만 그냥 평범한 파스타집은 이걸 이 가격에 파는 게 맞나라는 생각이 들 때가 종종 있습니다.
유튜브에 나오는 레시피를 보고 그냥 집에서 봉골레파스타를 만들었는데도 집에서 만든 게 훨씬 맛있으니 굳이 밖에서 사먹을 이유를 못 느끼겠는 메뉴 중 하나입니다.
파스타는 만드는 시간이 오래걸려서 가격을 더 비싸게 받는 메뉴인데 이건 인건비가 많이 드는 메뉴이니 그냥 집에서 해드시는 것을 추천해드립니다.
오일파스타 말고 토마토파스타는 진짜로 집에서 해드시는 게 훨씬 저렴하고 푸짐하게 드실 수 있습니다.
요즘 외식비가 너무 비싸지니 사먹는 걸 계속 아끼게 되는데 우리가 아끼는 만큼 장사하시는 분들도 참 힘들겠구나라는 생각이 듭니다.